메뉴 검색
메뉴 닫기

주소를 선택 후 복사하여 사용하세요.

뒤로가기 새로고침 홈으로가기 링크복사 앞으로가기
최태원 회장 "반도체 내년 하반기 회복" 2023-12-19
김정희 whytimes.newsroom@gmail.com


▲ [서울=뉴시스]최태원 SK그룹 겸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이 18일 서울 중국 대한상의 회관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사진 = 대한상의)


"내년 상반기 중에 (반도체) 수급 밸런스가 회복됐으면 좋겠다는 생각은 있지만 좀 더 지켜봐야 한다."


최근 메모리 반도체 시장이 바닥을 찍고 예상보다 빠른 회복세를 보이고 있지만 신중론도 나오고 있다.


최태원 SK그룹 겸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은 지난 18일 오후 서울 중구 대한상의 회관에서 가진 송년 기자간담회를 통해 이 같은 의견을 밝혔다.


최근 시장조사기관들은 메모리 업황을 중심으로 올 연말을 기점으로 반도체 산업이 급격한 상승률을 나타내는 'v(브이)' 자 반등세를 보일 것이라는 낙관론을 쏟아내고 있다.  하지만 최 회장은 아직도 시장 회복세가 일부 시장에 국한된 반면 경기 불확실성과 지정학적 리스크는 커서 지나친 낙관론을 경계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①경기 리스크 여전…中 중장기 성장 전망 어둡다


우선 경기 불확실성이 여전히 크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최 회장은 "반도체 경기 자체는 지금 아주 록바텀(경기 바닥) 형태를 벗어나고 있는 단계"이나 "아직도 회복이 되려면 조금 더 올라가고 조금 더 가격이 회복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반도체는 '산업의 쌀'이라고 부를 정도로, 다양한 산업군에서 사용된다. PC, 스마트폰 IT 기기는 물론 데이터 센터, 자동차 등 응용처가 광범위하다. 그만큼 경기 상황에 따라 급등락을 반복하는 사이클 사이클 산업이기도 하다.


특히 반도체 최대 수요 시장 중 한 곳인 중국 경기 회복에 대한 전망이 여전히 불투명하다는 점이 반도체 수요 회복세의 최대 걸림돌이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에 따르면 내년 중국의 경제성장률은 4.5%로, 올해(5.3%) 대비 둔화할 전망이다.


중국은 현재 부동산, 내수 부진, 물가 하락, 청년층 고용 악화 등 각종 사회 문제에 직면한데다 외국인 투자 감소, 미·중 경쟁과 대중 견제 지속 등 성장 저하 요인까지 잠재돼 향후 중장기적 성장률이 3~5%대로 내려올 가능성이 크다. 최 회장은 "현재 전망으로 내년 말이나 가야 (중국 경제가) 회복세를 더 보이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②수요 회복세에 온도차…'아픈 손가락' 낸드 우려 지속


최근 메모리 반도체 등 일부 제품군에서 업황 반등이 나타나고 있지만 수요 회복세가 제품마다 온도차가 있다는 점도 염두에 둔 것으로 보인다.


최근 스마트폰용 메모리 제품을 중심으로 수요 업체들이 재고 비축에 나서고 있으나 아직은 미약하다는 우려도 있다. 업계에서는 메모리 반도체의 최대 수요 시장인 서버 시장이 회복이 급선무로 판단한다.


제품별로 보면 메모리 반도체 중 데이터 연산 등에 필요한 D램의 경우 인공지능(AI) 수요 급성장세로 인해 고대역폭메모리(HBM), DDR5(5세대 이중 데이터 전송 속도) 등 고부가가치 제품이 잘 팔리며 업황 회복을 주도하고 있다.


이들 제품은 기존 범용 제품에 비해 가격이 적게는 30% 수준에서 최대 6~7배 비싸 매출 증가세는 물론 수익 개선을 일으키고 있다. 이에 SK하이닉스의 D램 사업은 지난 3분기 흑자 전환에 성공했고, 삼성전자도 4분기 흑자 전환이 확실 시 되고 있다.


반면 저장장치 용도로 쓰는 메모리 제품인 낸드 플래시의 경우 여전히 시장에 냉기가 감돌고 있다. AI 산업 성장으로 데이터 처리량이 폭증하며 고용량 저장장치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지만 아직 상대적으로 저렴한 전통적인 하드디스크 시장과 공존하고 있고 AI에 대한 집중 투자로 수혜도 제한적이다.


최 회장은 "아직도 전체적인 회복보다는 일부의 어떤 수요가 전체 마켓을 끌고 가고 있다"며 "메모리 쪽으로 이야기하면 D램은 나아지고 있지만 낸드 쪽은 아직 거의 잠자는 수준"이라고 표현했다.


③미중 갈등 지속…과잉투자 우려도 나와


지정학적 리스크가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는 점도 반도체 산업을 향한 낙관론를 경계하는 이유로 분석된다. 최 회장은 "누가 되더라도 결국은 미중 갈등은 계속될 것"이라는 견해를 밝혔다.


미국은 안보 위험을 줄이겠다는 이유로, 반도체와 AI 분야 중국의 성장을 노골적으로 훼방 놓고 있다. 특히 중국 기업이 반도체 제품은 물론 장비나 소프트웨어를 확보하지 못하도록 지속적인 기술 수출 통제에 나서고 있다. 반면 막대한 투자 지원금으로 미국 내 제조 시설을 유치하고 있다.


이런 미중 갈등 상황은 전 세계적인 반도체 공급망 재편 움직임으로 이어지고 있다. 그동안 반도체 산업은 공급망 협력을 기반으로 한 국경 없는 산업으로 통했으나, 이제 글로벌 기업들은 공급망 리스크를 해소하기 위해 세계 각지에 생산시설을 마련하는 등 대응에 분주하다.




사회

국방/안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