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과 중국을 잇는 신압록강대교의 북한 쪽 지역에서 공사가 진척된 정황이 관찰됐다.
25일(현지시간) 미국의 북한전문매체인 38노스는 최근 촬영된 위성 사진을 분석한 결과 이 일대에서 여러 채의 구조물이 새로 발견됐다고 밝혔다.
이 매체에 따르면 지난 달 26일 촬영된 위성 사진에서 이전에 없던 파란색 지붕의 구조물들이 처음 포착된 데 이어 이달 3일 위성 사진에서는 그 수가 약 20채로 늘어났다.
그 뒤 3월 초순 내내 추가 구조물이 세워졌고, 인근 부지 두 곳에서 새 건물 여러 채를 짓기 위해 닦아놓은 터도 관찰됐다.
앞서 2020년 다리 인근 부지가 정리되는 등 건축을 준비하는 듯한 모습 등이 포착된 적은 있지만, 그 뒤 지난 달까지 이 지역에서 건물 공사나 다른 추가 활동이 관찰된 적은 없었다고 38노스는 설명했다.
39노스는 공사가 다리와 육지를 잇는 길목과 가까운 곳에서 이뤄지는 점을 고려하면 이 부지에 세관 및 출입국 관리 구역이 들어설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앞서 북한과 중국은 지난 2009년 건설비 전액을 중국이 부담하는 조건으로 1943년 건설돼 노후한 압록강철교(중조우의교)를 대체할 신압록강대교 건설에 합의했다.
이듬해 12월 착공해 2014년 10월께 단둥 랑터우와 신의주 남부를 잇는 다리 본체가 완공됐지만, 북한이 주변 도로 정비를 미루고 2020년 코로나19로 북중 국경까지 봉쇄되면서 개통이 미뤄졌다.
그러다 2022년 북중간 화물열차 운행 등이 재개되고, 중국이 신압록강대교 보수 및 주변 시설물 정비 공사를 벌이면서 다리 개통 임박설이 여러 차례 제기됐으나 번번이 설에 그쳤다.
일각에선 늦어지는 신압록강대교 개통이 최근 북한의 대(對)러시아 밀착 등으로 소원해진 북중 관계를 보여주는 것이 아니냐는 분석도 제기된다. 다만 전략적 이해관계를 고려하면 양국의 관계가 더 나빠질 가능성은 적다는 관측도 있다.
38노스는 "오랜 중단 끝에 재개된 이번 작업은 머지않은 미래에 이 다리 사용을 시작하겠다는 의지의 표명일 수 있다"고 짚었다.
아울러 "두만강에 북한과 러시아를 잇는 다리 건설이 가속함에 따라 국경 간 이동이 증가할 것에 대비해 국경 관리를 강화하려는 폭넓은 노력의 일환일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북한과 러시아는 지난해 6월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이 정상회담에서 도출한 합의에 따라 두만강을 가로지르는 자동차 다리 건설을 진행하고 있다.
-Why Times Newsroom Desk
-미국 Midwest 대학교 박사
-월간 행복한 우리집 편집인
-월간 가정과 상담 편집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