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체제에 대한 위협은 내부에서도 비롯될 수 있는 만큼 외부에서 안전을 보장해 줄 수 없다고 빅터 차 미국 전략국제문제연구소 한국석좌가 지적했다.
차 석좌는 VOA와의 인터뷰에서 북한은 미국과의 관계 정상화를 통해 체제에 대한 위협을 완전히 없앨 수 없다고 내다봤다.
대신 북한에게 미국과의 관계 정상화는 핵 보유국이면서도 미국이 공격할 수 없는 나라가 되는 것을 뜻한다고 진단했다.
다음은 인터뷰의 주요 내용이다.
[미국의 북한 체제 보장]
어느 나라든 체제 안전이라는 것은 바깥으로부터 보장받을 수 있는 게 아니다.
북한 지도부는 외부 위협에서 느끼는 것만큼이나 내부 시스템에 의해서도 위협을 느끼고 있다.
[미국과의 관계 정상화가 북한 정권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가장 최선의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인가?]
관계정상화는 두 나라 간 고정적인 대화 창구를 열게 하고, (북한 체제의) 불안감을 어느 정도 줄일 수 있다.
또 두 나라는 더 이상 적국이 아니게 되므로 미국의 군사 공격 가능성도 낮출 수 있다.
하지만 이런 종류의 정권은 늘 불안감을 느낀다.
외부의 위협이 실제로 존재하든 안 하든 북한 정권의 성격상 늘 불안감을 갖는다는 것이다.
[미국이 북한 비핵화를 전제로 미-북 외교관계 수립에 착수하는가?]
아직은 추측일 뿐이다.
윌리엄 페리 전 미 국방장관도 미-북 관계 정상화와 비핵화 검증 절차가 함께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비핵화는 매우 어렵고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정상적인 정치 관계를 수립해 이런 문제에 관해 소통할 수 있는 열린 창구를 갖자는 논리였다.
[관계정상화를 위해 사전에 특정 요건을 충족해야 하는 것 아닌가?]
물론이다.
인권상황을 비롯한 여러 문제가 고려돼야 한다.
따라서 관계정상화는 폭넓은 정치적 타결의 기반 위에서 이뤄져야 한다.
단순히 상대방 국가에 대사관을 두는 것으로 끝나는 게 아니라 인권 유린과 같은 문제가 해결돼야 한다는 것이다.
[중국이 미국과 북한의 관계정상화를 환영할까?]
그럴 거라고 본다.
중국은 언제나 ‘상호 인정 방식’을 선호했다.
따라서 자신들은 1992년 한국과 국교를 정상화했는데 미국과 일본은 아직도 북한과 국교를 맺지 않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북한이 실제로 미국과의 관계정상화를 원하는가? 미국과 국교를 맺을 경우 민주주의와 자유 시장경제가 유입되는 걸 두려워하지 않겠는가?]
그렇긴 하지만 동시에 북한에겐 미국과의 관계정상화는 미국으로부터 핵 보유국으로 인정받고 받아들여지는 걸 의미한다.
북한으로서는 큰 상을 받는 것이다.
따라서 북한이 핵 보유국임을 선언한 이상 그들에게 관계정상화는 과거와 다른 의미를 갖게 됐다.
[미국과의 관계정상화를 통해 보통 국가로 인정받으면서도 여전히 핵 보유국으로 남아있고자 하는 것인가?]
북한이 과거에는 외부의 적이 필요해 관계정상화를 원하지 않았을 수도 있다.
하지만 그건 북한이 핵 보유국 선언을 하기 전이다.
이제 핵 보유국으로 선언한 만큼 관계정상화는 핵 보유국이면서 미국이 더 이상 공격할 수 없는 나라가 됐다는 것을 국제사회와 미국에 입증하는 방법이라는 것이다.
-중국 푸단대학교 한국연구원 객좌교수
-전 EDUIN News 대표
-전 OUR NEWS 대표
-제17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정책기획팀장
-전 대통령실 홍보기획비서관
-사단법인 한국가정상담연구소 이사장
-저서: 북한급변사태와 한반도통일, 2012 다시우파다, 선거마케팅, 한국의 정치광고, 국회의원 선거매뉴얼 등 50여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