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18-04-20 09:11:51
기사수정
–최저임금 인상에 적극적 혹은 암묵적으로 동조하던 시민단체들도 최저임금 인상 후폭풍 겪어
–건물주와 금융자본의 횡포에 항의하거나 월세 납부 거부운동이라도 하는 것이 마땅하지 않나
–참여연대 카르텔 덕분에 진보팔이 장사도 어려운데, 내년이면 시민사회 단체들이 와해될지도


▲ 최저임금 산입범위 확대저지 기자회견 [뉴시스]


1년 가까이 몸 담았던 환경단체의 회비인상 메시지를 보니 측은하다.

최저임금 인상에 적극적 혹은 암묵적으로 동조하던 여타 시민단체들도 결국 최저임금 인상의 후폭풍을 겪는 모양이다.


기업이 가격인상이나 근무시간 조정 등을 통해 최저임금 인상에 대응하느라 안간힘을 쓰는 것에 대해 그렇게 비판적이더니 지금 시민단체 등이 하는 행동도 기업들과 판박이가 아닌가? 이걸 보고 ‘내로남불’이라고 부를 법하다.


여기에 대해서 과거 그랬던 것처럼 건물주의 횡포와 금융자본의 횡포라며 달려들지 못하는 이유는 뭘까?

싼 임대료를 찾아 떠나거나 그게 아니라면 월세 납부 거부운동이라도 하던지 해야 하는 것 아닌가?

적폐적 채무에 대해 상환 불이행이라도 선언할 법한데 말이다.

지금껏 유지해온 삶의 관행이 그렇게 한 순간에 손쉽게 바꾸는 게 아니다.

자, 가격인상에 대한 회원들의 대응이 무엇인지 한 번 겪어볼 차례다.


그나마 이념으로 뭉친 회원들이다 보니 이런 변화에 너그러울 수도 있겠다.

하지만 증액 요청을 쉽게 받아들이지 못할 것이거니와, 기존 회원의 탈퇴와 가입 축소로 이어지는 비극은 전보다 커질 것이다.

소득주도 성장의 저주는 소득주도 성장을 외치고 지지하는 사람들에게조차 비껴갈 수 없다.


“뿌린대로 거둔다.”는 말을 잊어서는 안된다.

생산성이 좋아 가격을 낮추거나, 가격에 부합하는 품질을 제공했을 때 우리는 기꺼이 지갑을 열 수 있다. 공급자의 혁신을 배제한 채, 국가 제도가 공급조직 운영비용 인상을 안겨주면 시장의 룰로 정해진 가격은 왜곡된다.


공급받은 제품과 서비스는 달라진 게 없거나 더 나빠졌는데 돈을 더 내게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럴 바엔 지갑을 꽁꽁 묶어버리는 게 현명하다고 판단하기 마련이다.


가뜩이나 참여연대 카르텔이 드러난 덕에 진보팔이 장사가 어려운 실정인데, 아마 내년이면 많은 시민사회단체도 와해될지 모르겠다.


운동권 선배들이 권력을 맛보더니 후배들을 아주 못살게 군다.

그래도 어쩌겠나.

입 바른 소리로 후배들 등골 빨아먹는게 그 바닥의 ‘관행’인 것을!

관련기사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whytimes.kr/news/view.php?idx=1292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정치더보기
북한더보기
국제/외교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