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22-03-10 21:17:37
기사수정


▲ 김정은, 국가우주개발국 현지지도. (사진=노동신문 누리집 갈무리)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핵 무기를 보유해야만 우크라이나와 같은 일을 당하지 않을 것"이라는 핵 포기 불가론이 북한 당 간부들 사이에서 팽배한 것으로 전해졌다.


9일(현지시간) 영국 언론 '미러'는 북한 전문 매체 데일리NK를 인용해 이같이 전했다.


앞서 데일리NK는 북한 내부 소식통을 인용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공격이후 북한 당 간부들은 핵무기를 더욱 포기할 수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소식통은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북한은 핵무기에 더 애착을 느끼고 있고, 북한 고위간부들 사이에 우크라이나 위기를 핵무기 포기에서 비롯됐다는 공감대가 형성됐다"고 밝혔다.


지난 1991년 구소련이 붕괴된 후 우크라이나는 구소련 핵무기의 약 3분의 1을 보유했지만 미국, 영국, 러시아로부터 안전을 보장받는 대가로 1994년 12월 핵무기를 포기했다. 우크라이나의 핵포기가 오늘날 우크라이나 위기를 초래했다는 것이 북한 내 고위급 간부들의 중론이다.


아울러 북한 고위 간부들이 우크라이나 사태를 핵보유의 당위성과 연결시키는 것은 당국의 정치 선전교육 때문인 것으로 파악됐다.


이 가운데 북한은 지난 2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규탄하고 철군을 요구하는 유엔 긴급특별총회 결의안에 반대표를 던지기도 했다.


전문가들은 우크라이나 사태가 마무리되더라도 향후 북한의 비핵화를 설득하기는 더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북한 내부의 핵 포기 불가론을 강화하는 것은 이번 우크라이나 사태가 처음이 아니다.


북한은 지난 2011년 리비아 카다피 정권의 붕괴를 핵무기 포기 불가의 근거로 삼고 있다.


2003년 당시 리비아 국가원수였던 무아마르 카다피는 핵포기 선언 뒤 미국으로부터 제재 해제 등 보상을 받긴 했으나, 2011년 반정부 시위로 권좌에서 축출됐고 그 이후 미국의 지원을 받던 반군에게 사살되는 비참한 최후를 맞았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whytimes.kr/news/view.php?idx=10983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정기구독
교육더보기
    게시물이 없습니다.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