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23-04-14 07:02:41
기사수정


▲ 북한 조선중앙TV는 8일 평양 김일성광장에서 조선인민군 창건 75주년 열병식을 진행했다고 9일 보도했다. (사진=조선중앙TV 캡처)


북한이 13일에도 남북 공동연락사무소와 군 통신선 정기 통화에 답하지 않으면서 남북 간 상시채널 '불통'이 일주일째 이어졌다. 북한은 남북 연락채널을 단절한 채 이날 중거리급 이상의 탄도미사일을 발사하며 무력 도발을 재개했다.


통일부와 국방부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 남북 공동연락사무소와 군 통신선 업무 개시 통화에 이어 오후 마감 통화도 북측의 무응답으로 정상적으로 이뤄지지 않았다.


남북 간에 유선으로 연결된 통신선은 통일부가 평일 오전 9시 개시통화, 오후 5시 마감통화를 진행하는 남북 공동연락사무소 채널과 국방부가 매일 오전 9시 개시통화, 오후 4시 마감통화를 하는 동·서해 군 통신선이 있다.


북측은 지난 7일부터 어떠한 입장 표명 없이 남북 정기 통화에 응답하지 않고 있다.


2021년 10월 남북 간 통신선이 복원된 이후 남북 연락사무소나 군 통신선이 이틀 넘게 두절된 경우는 이번이 처음이다.


북한의 입장은 확인되지 않았지만 최근 한미 연합군사훈련과 미 전략자산의 한반도 전개, 북한 인권보고서 공개 및 유엔인권이사회의 북한인권결의 채택, 개성공단 내 우리 측 시설의 무단사용 중단 요구 등에 대한 시위성이 짙다고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북한은 앞서 지난 6일 개성공단 내 통근버스 운영 등 한국 측 자산을 무단 사용한 데 대해 정부가 즉각 중단을 촉구하는 통지문을 보내려 했을 때도 남북 연락채널 전화를 일방적으로 끊어버렸다.


북한은 최대 명절인 태양절(김일성 주석 생일·15일)을 이틀 앞두고 이날 오전 동해상으로 중거리급 이상의 탄도미사일을 발사했다. 탄도미사일 도발은 지난달 27일 단거리탄도미사일(SRBM) 이후 17일만이여 올해 들어 9번째다.


이번 미사일은 북한이 지난 2월 8일 인민군 창건 75주년 열병식에서 공개한 신형 고체연료 기반 ICBM일 가능성이 제기된다.


[북, 고체연료 ICBM 시험 관측…신속 발사·은닉 쉬워 軍 방어 부담]


북한이 13일 발사한 중거리급 이상 탄도미사일은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가능성이 제기된다. 특히 북한이 지난 2월 8일 인민군 창건 75주년 열병식에서 공개한 신형 고체연료 기반 ICBM일 가능성에 군은 주목하고 있다. 이 경우 우리 군이 신속 발사와 은닉에 장점이 있는 고체 ICBM 방어에 부담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


합동참모본부에 따르면 북한은 이날 오전 7시 23분께 평양 인근에서 동해상으로 탄도미사일 1발을 발사했다. 이 미사일은 정상보다 높은 각도로 발사돼 약 1000㎞ 비행 뒤 동해상에 탄착했다.


정점 고도는 약 3000㎞ 미만으로 알려졌는데 기존의 중거리탄도미사일(IRBM)이나 ICBM 발사 때 보이지 않았던 제원이다.


일본 정부는 이번 발사체를 ICBM급으로 추정했다.


군 관계자는 "항적의 형태나 고도, 비행 거리 등을 고려했을 때 지금까지 북한이 시험 발사했던 체계와 다른, 새로운 방식의 무기체계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이번 미사일이 올해 열병식에서 처음으로 공개된 고체연료 ICBM일 가능성이 유력하게 거론된다.


고체연료 ICBM은 김정은 위원장이 2021년 1월 조선노동당 제8차 당대회에서 국방력 발전 5개년 계획의 '5대 과업' 중 하나로 제시한 무기체계다.


이후 북한은 지난해 12월15일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 서해위성발사장에서 ICBM급 엔진으로 평가받는 추진력 140tf(톤포스)의 대출력 고체연료발동기의 첫 지상분출시험에 성공했다고 주장했고, 지난 2월 건군절 열병식에서 고체연료 ICBM으로 추정되는 신형 무기를 공개했다.


이날 발사가 이를 시험발사한 것이라면 향후 추가 발사로 성능 고도화에 나설 것으로 전망된다.


고체연료 엔진은 사전에 주입해둘 수 있어 신속 발사의 장점이 있고 이동식발사대에 탑재할 경우 은닉하기도 쉬워 액체연료 엔진 미사일에 비해 발사 징후 등을 사전에 포착하기가 어렵다. 핵·미사일을 막는 데 쓸 수 있는 시간이 줄어들어 우리 군 당국으로서는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


김동엽 북한대학원대 교수는 "첫 시험에서 중거리인지 장거리인지 혼동을 일으킬 만큼 정점고도가 높았다면 완성도가 상당 수준이 아닐까 예상한다"고 평가했다.


이어 "만약 오늘 발사가 고체연료 ICBM의 첫 시험발사였다면 내일 대대적으로 성과를 부각해 내부결집용으로 활용할 것이다"고 덧붙였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whytimes.kr/news/view.php?idx=14728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정기구독
교육더보기
    게시물이 없습니다.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